모자이크 다이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모자이크 다이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다이닝 시리즈
    • 다이닝 가이드

검색 레이어

모자이크 다이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중식추천

  • 다이닝 가이드 (29): 마라탕, 혀는 아리고 속은 따뜻한 국물 선택권

    2025.06.13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28): 마라샹궈, 내가 고르고 불이 볶는다

    2025.06.12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27): 어향가지, 생선 없는 생선 향 이야기

    2025.06.12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26): 볶음밥, 한 숟갈마다 정리되는 요리의 마지막 장면

    2025.06.12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25): 잡채밥, 반찬에서 식사로 진화한 어느 날의 한 그릇

    2025.06.11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6): 팔보채, 팔색조의 매력을 담은 요리

    2024.11.22 by 도슐랭ㅡ

다이닝 가이드 (29): 마라탕, 혀는 아리고 속은 따뜻한 국물 선택권

“이제 마라탕도 써야 되는 거 아냐?” 마라샹궈에 대한 글을 작성한다고 하니,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바로 이거였습니다. “마라탕도 좀 써줘야지.” 사실 나도 그 생각을 하고 있긴 했습니다. 샹궈를 다룰거면, 탕도 가야죠. 뜨거운 국물 없이 마라의 세계를 다 이야기했다고 하긴 좀 그러니까요. 마라샹궈가 센 불에 재료를 볶아내는 ‘건조한’ 요리라면, 마라탕은 그 재료들을 국물에 푹 담그는 ‘젖은’ 방식입니다. 둘 다 내가 재료를 고르고, 불은 식당이 책임지지만, 나오는 결과물은 확연히 다릅니다. 마라탕 = 마라샹궈 + 국물? 그 이상이다 처음엔 다들 그렇게 말합니다. “마라샹궈랑 마라탕 뭐가 달라요?” “그냥 국물 있는 거랑 없는 거 차이 아냐?”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 국물이 추가된다는 게 ..

다이닝 가이드 2025. 6. 13. 08:01

다이닝 가이드 (28): 마라샹궈, 내가 고르고 불이 볶는다

마라샹궈? 이름부터 조금 무섭다 마라샹궈(麻辣香锅). 처음 이 단어를 보면 약간 주눅이 듭니다. 마라? 샹궈? 읽는 것도 어렵고, 뭔가 굉장히 매울 것 같고… 메뉴판에서 이걸 시킬까 말까 고민하다가 결국 짬뽕이나 볶음밥으로 마음을 돌리는 분들,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런데도 마라샹궈는 지금 중식 외식 트렌드 한가운데에 있는 요리입니다. 매니아층도 두텁고, 중독된 사람들은 다른 메뉴를 눈에 넣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마라샹궈는 뭐길래 이렇게 사람을 홀리는 걸까요? 정의부터 정리: 마라샹궈는 국물 없는 마라탕이다 이건 꽤 자주 받는 질문입니다. “마라샹궈랑 마라탕이 뭐가 달라요?” 간단하게 말하면 이렇습니다: 마라탕은 끓이고, 마라샹궈는 볶습니다. 둘 다 비슷한 재료를 고릅니다. 당면, 푸주(말린 두부..

다이닝 가이드 2025. 6. 12. 23:51

다이닝 가이드 (27): 어향가지, 생선 없는 생선 향 이야기

어향가지, 이게 뭐지? 싶었던 그날부터 처음에 어향가지라는 메뉴를 봤을 땐 이게 도대체 무슨 맛일까 싶었습니다. ‘어향(魚香)’이라는 말에서 일단 긴장이 들어가고, ‘생선 향 나는 가지?’라는 해석이 따라붙었죠. 가지도 호불호가 갈리는데, 생선 향까지 곁들여진다니… 처음엔 왠지 낯설고, 괴식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한 입 먹어보면 생각이 바뀝니다. 생선 향은 없고, 고소하면서도 짭조름하고, 살짝 새콤하고 은근히 매콤한 소스가 가지에 착 붙어 있습니다. 촉촉한 듯 쫄깃하고, 입에 넣는 순간 숟가락이 멈추지 않죠. 이쯤 되면, "이거 생선은 없는데 왜 이름이 이래?" 하는 의문이 따라옵니다. ‘어향(魚香)’의 진짜 의미는? 중국 요리에서 ‘어향’은 생선 요리가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원..

다이닝 가이드 2025. 6. 12. 22:43

다이닝 가이드 (26): 볶음밥, 한 숟갈마다 정리되는 요리의 마지막 장면

어디에나 잘 섞이는 볶음밥의 태도 짜장은 짬뽕과 섞이기 애매하고, 짬뽕도 짜장과 함께 먹기엔 조금 부담스럽습니다. 둘 다 각자의 색이 너무 뚜렷하니까요. 하지만 볶음밥은 다릅니다. 짜장과도, 짬뽕과도, 심지어 탕수육이나 라조육과도 자연스럽게 어울립니다. 볶음밥은 어디에나 잘 섞입니다. 그래서 주연이 될 수도 있고, 조연도 마다하지 않죠. 어떤 자리든 편안하게 녹아드는, 그리고 꼭 필요할 땐 중심도 잡아주는—묘한 존재감이 있는 요리입니다. 중식당에서도 볶음밥은 그런 식으로 등장합니다. 어떤 날은 처음부터 ‘볶음밥 주세요’로 시작하는 메인 식사고, 어떤 날은 고기 요리 하나쯤 나눠 먹은 뒤 “볶음밥 하나만 볶아주세요”라는 마무리 주문으로 불려나오죠. 이런 유연함은 볶음밥이 갖는 가장 큰 미덕 중 하나입니다...

다이닝 가이드 2025. 6. 12. 08:03

다이닝 가이드 (25): 잡채밥, 반찬에서 식사로 진화한 어느 날의 한 그릇

반찬이던 잡채, 밥을 덮다 잡채밥을 시키면, 처음엔 어색합니다. 왜냐면 잡채는 늘 반찬으로 먹어왔으니까요. 명절 상차림에 빠지지 않던 그것, 당면에 간장 베이스 소스, 잔잔하게 볶은 야채들과 고기. 큰 접시에 담겨 가운데 놓이고, 옆엔 항상 밥이나 전이 있었죠. 근데 어느 날 중식당에서 밥 위에 잡채가 얹힌 ‘잡채밥’을 마주하고는, 조금 혼란스러워졌습니다. 어? 이건 반찬이 아닌데? 중식당에서 나오는 잡채밥은 우리가 아는 그 잡채와 다릅니다. 무엇보다 소스가 더 진하고, 전분기가 돌고, 불향이 느껴지죠. 당면도 더 탱탱하고 투명하게 볶아져 나옵니다. 색도 더 진하고, 고기도 더 분명하게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이건 단순히 ‘잡채를 밥 위에 얹었다’가 아니라, ‘밥 위에 올릴 전용 잡채’로 완성된 별개의 요..

다이닝 가이드 2025. 6. 11. 23:50

다이닝 가이드 (6): 팔보채, 팔색조의 매력을 담은 요리

팔보채는 그 이름처럼 팔색조의 매력을 지닌 중화요리입니다.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져 만들어내는 풍성한 맛과 화려한 비주얼은 이 요리가 특별한 날에 빠지지 않는 이유를 잘 보여줍니다. 팔보채는 단순히 재료가 많다는 이유로 특별한 요리가 된 것이 아닙니다. 각각의 재료가 가진 개성과 맛이 하나로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내는 완벽한 균형, 이것이 바로 팔보채의 본질입니다. 오늘은 팔보채의 이름에 담긴 의미, 조리법, 그리고 이 요리가 가진 특별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팔보채라는 이름, 팔색조의 힌트팔보채(八寶菜)의 이름은 그 자체로 이 요리를 설명합니다. ‘팔보(八寶)’는 여덟 가지 보물을 뜻하며, 여기서 보물은 요리에 사용되는 재료를 상징합니다. ‘채(菜)’는 요리를 뜻하죠. 즉, 팔보채는 여덟 가지 재료로 만든..

다이닝 가이드 2024. 11. 22. 07:5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모자이크 다이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