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이크 다이닝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모자이크 다이닝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다이닝 시리즈
    • 다이닝 가이드

검색 레이어

모자이크 다이닝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양식

  • 다이닝 가이드 (34): 로제파스타, 누구와도 어울리는 붉은 중간지대

    2025.06.15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33): 크림파스타, 하얀 접시 속의 안도감

    2025.06.15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32): 까르보나라, 이탈리아가 말하는 정답

    2025.06.14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31): 토마토 스파게티, 소스보다 토마토의 문제

    2025.06.14 by 도슐랭ㅡ

  • 다이닝 가이드 (30): 알리오 올리오, 셋이면 될 줄 알았지

    2025.06.13 by 도슐랭ㅡ

다이닝 가이드 (34): 로제파스타, 누구와도 어울리는 붉은 중간지대

기억 속의 토마토와 크림 사이 토마토 소스는 약간 시고, 크림 소스는 좀 느끼하다면, 그 둘을 반씩 섞으면 어떨까? 로제파스타는 그렇게 탄생한 음식입니다. 처음부터 정통이란 이름을 달고 등장한 건 아니었지만, 어느 날부턴가 가장 대중적인 파스타 메뉴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죠. 어린이도, 어른도, 파스타를 좋아하지 않던 사람조차도 "로제는 괜찮던데"라고 말합니다. 이건 단순한 조합 그 이상입니다. 서로 다른 개성이 부딪히지 않고, 부드럽게 감싸는 중간지대. 어쩌면, 우리가 원하는 대부분의 음식이 이런 쪽에 가까운 것 아닐까요? 붉지만 부드럽고, 진하지만 무겁지 않다 이탈리아 현지에는 ‘로제’라는 소스 명칭은 없습니다. 토마토에 크림을 섞은 파스타가 있긴 하지만 이걸 따로 이름 붙여 팔지는 않죠. 그런데 ..

다이닝 가이드 2025. 6. 15. 19:18

다이닝 가이드 (33): 크림파스타, 하얀 접시 속의 안도감

입 안에 퍼지는 건 맛보다 기분이다 크림파스타를 먹고 있을 때, 사람들은 “이게 진짜 맛있다”라고 하기보다는 “오랜만에 이게 당기더라”라고 말합니다. 맛에 대한 논리보다, 그냥 기분으로 끌리는 음식이라는 뜻이죠. 실제로 크림파스타는 재료나 조리법보다 분위기와 감정이 먼저 움직이는 요리입니다. 뭔가 피곤한 날, 기분 좋은 날, 친구랑 와인 한 잔 할 때, 아니면 아무 생각 없이 먹고 싶을 때— 그럴 때마다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게 이 하얀 접시 속의 부드러운 파스타입니다. 크림은 어떻게 입맛을 설득하는가 크림은 느끼하다는 평가를 자주 듣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 느끼함이 좋아서” “입에 남는 그 꾸덕함 때문에” 크림파스타를 찾는 사람도 많습니다. 이건 버터나 오일이 주는 기름기와는 또 다른 종류의 지방감..

다이닝 가이드 2025. 6. 15. 08:05

다이닝 가이드 (32): 까르보나라, 이탈리아가 말하는 정답

크림 없이 만든다고요? 진짜입니다 까르보나라(carbonara). 우리나라에서는 왠지 ‘크림 스파게티의 친척’ 같은 이미지가 있습니다. 하얗고 부드럽고, 가끔 달달하기까지 한 그 파스타. 그런데 정작 이탈리아 사람들에게 그런 말을 하면, 눈썹부터 올라갑니다. "그건 까르보나라가 아니라 크림 파스타지"라는 반응이죠. 정통 까르보나라에는 크림이 없습니다. 계란, 치즈, 후추, 그리고 구운 고기. 이게 끝입니다. 놀랍게도, 진짜 이 네 가지만 있으면 우리가 상상하는 그 부드럽고 진한 맛이 완성됩니다. 탄광 노동자의 파스타? 이름의 유래 까르보나라라는 이름은 ‘숯(carbone)’에서 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숯처럼 까만 후추를 듬뿍 뿌려서”라는 말도 있고, “탄광 노동자들이 즐겨 먹었다”는 설도 있죠. 정..

다이닝 가이드 2025. 6. 14. 12:08

다이닝 가이드 (31): 토마토 스파게티, 소스보다 토마토의 문제

빨간 맛의 시작 토마토 스파게티. 누군가에겐 초등학교 앞 분식집의 추억이고, 누군가에겐 패밀리 레스토랑에서의 첫 데이트 기억일 겁니다. 정통 이탈리아 요리라기보단 한국식 양식의 클래식처럼 받아들여지지만, 사실 이 요리는 파스타라는 장르에서 가장 오래된 맛 중 하나입니다. 18세기 말, 나폴리의 가난한 집에서 갓 딴 토마토를 으깨 파스타 위에 올려먹던 방식이 지금 우리가 아는 토마토 파스타의 원형입니다. 고기나 해산물 없이, 그저 토마토와 올리브 오일, 마늘만으로 이루어진 지극히 단순한 구성이죠. 하지만 여기에 파스타라는 면과의 조화가 들어가면 이 단순한 재료가 꽤나 깊은 맛을 냅니다. ‘소스’가 아니라 ‘토마토’가 문제다 토마토 스파게티는 흔히 ‘토마토 소스를 쓰는 파스타’라고 생각되지만, 사실 진짜 ..

다이닝 가이드 2025. 6. 14. 10:41

다이닝 가이드 (30): 알리오 올리오, 셋이면 될 줄 알았지

가장 쉬워 보이지만, 제일 어렵다 알리오 올리오. 한 끼 제대로 챙겨 먹기 애매한 날, 파스타면 한 줌과 마늘 몇 쪽, 올리브오일만 있으면 된다는 그 메뉴. "셋이면 되잖아"라는 말이 참 그럴듯하게 들립니다. 그래서 다들 한 번쯤은 해보죠. 마늘 썰고 오일에 볶고, 면 넣고 후루룩— 근데 문제는 그 다음입니다. 맛이 없다. 느끼하고, 밍밍하고, 뭔가 부족한데 뭐가 부족한진 모르겠고. 이게 진짜 맞나 싶은 그 당황스러운 맛. 그제서야 사람들은 알게 됩니다. ‘셋만 넣는다고 끝이 아니었구나.’ 마늘, 오일, 그리고 타이밍 알리오 올리오의 핵심은 아주 명확합니다. 마늘, 오일, 면. 끝. 하지만 이 단순한 재료들이 언제, 어떤 상태로 만나느냐에 따라 그릇에 담긴 결과는 전혀 다르게 나옵니다. 먼저 마늘. 얇..

다이닝 가이드 2025. 6. 13. 22: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모자이크 다이닝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